임신 중 근무하는 직장인이라면 임신 초기( 6주~12주까지)와 임신 후기(36주 이후)에 임신 단축근무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로, 임신부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권리인데요. 하지만 정확한 계산법과 신청 방법을 몰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신 단축근무의 계산법과 신청 절차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임산부 단축 근무란?
임신 단축 근무는 근로기준법 제74조 7항에 따라 임신 초기와 임신 후기에 여성 근로자가 하루 2시간의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임신부의 건강을 지키고 안전한 근로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근로자는 단축된 시간만큼 임금을 삭감하지 않고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2. 임산부 단축 근무 요건
- 대상 기간:
임신 12주 0일 이내 또는 임신 36주 이후임신 12주 0일 이내 또는 임신 31주 1일 이후(32주)(2025년 개정) - 단축 시간: 1일 2시간
- 단축 조건: 근로시간 단축은 회사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즉시 시행됩니다.
3. 임산부 단축 근무 계산 방법
정확한 단축 근무 기간을 확인하려면 주수 계산이 필수입니다. 기간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헷갈리고, 정확하게 확인해야 할 경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임신 주수별 단축 근무 기간 확인
- 임신 초기: 단축 근무 신청일~12주 0일까지 사용 가능
- 임산 후기:
35주 1일부터 사용 가능31주 1일부터 사용 가능(2025년 2월 23일 부터 시행)
고용노동부에서 만든 엑셀 파일을 통해 출산 예정일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되어 정확한 날짜를 확인할 수 있으니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2) 임산부 단축 기간 계산표 확인하는 방법
①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접속한다.
https://www.moel.go.kr/index.do
고용노동부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자동 넘김 정지 자동 넘김 재
www.moel.go.kr
2) [정책소개]-[정책자료실]에서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기간 계산표”라고 검색한다.
https://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30701171
고용노동부
제목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기간 계산표 등록일 2023-07-19 담당부서 여성고용정책과 담당자 마윤경 전화번호 0442027547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근로기준법 제74조제7항) 관련한 기간 계산표입니
www.moel.go.kr
3) 단축 근무 날짜 계산 엑셀파일_고용노동부 엑셀 양식 다운받기
4) 임신 주수별 단축 근무 기간 확인
- 임신 초기: 단축 근무 신청일~12주 0일까지 사용 가능
- 임산 후기:
35주 1일부터 사용 가능31주 1일부터 사용 가능(2025년 2월 23일 부터 시행)
고용노동부에서 만든 엑셀 파일을 통해 출산 예정일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되어 정확한 날짜를 확인할 수 있으니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4. 결론
임신 단축 근무는 임신부와 근로 환경을 모두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중요한 제도입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계산표와 엑셀 양식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임신 주수 확인이 가능합니다. 임신 중에도 건강하고 안전하게 근무하시길 바랍니다.
'life_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트코 연회비 인상(2025년 5월 1일부터 적용) (0) | 2025.02.03 |
---|---|
연말 정산 월세 세액 공제| 월세 세액 공제 준비 사항|기준시가 확인 방법|알아두면 유용한 연말정산 정보 (0) | 2025.01.24 |
연말정산 초등학생 학원비, 교육비 공제|공제 가능 항목과 주의사항 (0) | 2025.01.20 |
구글 애드센스 PIN번호 입력하기|PIN번호 입력 방법 절차|구글 애드센스 정산 준비하기 (0) | 2024.10.09 |
구글 애드센스|대금 지급 본인 확인 메일|대금 지금 본인 확인 방법|Google 애드센스의 대금을 지급받으려면 본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5) | 2024.10.08 |